대미 관세 협상을 마치고 돌아온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경제계와 만나 결과를 공유하고 후속 전략을 논의합니다. <br /> <br />대한상공회의소를 연결해 김정관 장관의 모두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김정관 / 산업통상자원부 장관] <br />안녕하십니까?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입니다. 취임하자마자 여러분들하고 만났을 때를 생각을 합니다. 맡고 나서 책임이라는 두 글자의 무게감이 얼마나 큰지를 느낀 순간이었는데 어쨌든 국민들의 성원과 덕분에 관세협상 타결 성과를 전해 드리게 되어서 감개무량합니다. <br /> <br />어려운 여건에도 불구하고 우리 기업과 정부가 원팀이 되어 긴밀하게 소통하고 특히 몇몇 기업인들은 직접 오셔서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셔서 이루어진 값진 성과라고 생각을 합니다.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 번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언론에 보도도 됐습니다마는 금번 관세협상 타결로 국별 관세는 예고됐던 당초 25%에서 15%로, 자동차 관세는 15%로 향후 예고된 반도체, 의약품 관세는 최혜국 대우를 약속하였습니다. 이는 그간 우리 기업들이 직면하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우리 수출의 19%를 차지하는 미국 시장에서 주요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경쟁 조건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리고 우리 정부는 1500억 불의 마스가. 요즘 마스가를 사람들이 다 알게 됐는데 조선협력 프로젝트 그리고 나머지 2000억 불 규모의 대미 투자 규모는 배터리, 바이오, 에너지등 전략 산업 분야에서 한미 산업 협력을 강화하고 우리 기업들에게 새로운 진출 기회를 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. 이와 같은 조선과 나머지 2000억 불의 대미 투자 패키지는 우리 경제와 기업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향후 미 정부 측과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이번에 최악의 상황을 막아내고 단기적인 수출 불확실성을 해소하였지만 전에 없던 15%의 관세는 미국 현지 기업 대비 대미 수출 기업, 특히 중소기업들의 수익성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우려합니다. 특히 자동차 관세 12.5% 확보와 철강 관세 완화 방안에 대해서는 정말 마지막 트럼프 앞에서 저희들이 이야기했었는데 업계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던 점을 매우 아쉽게 생각합니다. 이제 미국과 주요국 간 관세협상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고 국별 관세가 발효될 예정인 바, 이를 반영하여 우리 수출 및 업종에... (중략)<br /><br />YTN 이승은 (sele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50804114320653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